본문 바로가기
거래량 천만 이상 종목 정리

2023.02.01 (수)

by 일일과제중 2023. 2. 13.

종합(5% 이상)

  • 정치 1 / STO 2 / 의료기기(산부인과) 1 / 재상장 1 / 지분 3 / 5G 1 / 의료로봇 1 / 공간정보 1 / 반도체 1 / 리튬

미래아이앤지

  • 상승률: 1.53% / 거래량 135,698,517
  • 관련 기사
    •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2825
      미래아이앤지는 자회사 아티스트코스메틱과 특수관계인이 휴마시스 지분 11.58%를 확보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 27일 공시한 휴마시스의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으로 보유하게 되는 지분율 7.65%에서 4%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미래아이앤지 관계자는 “휴마시스의 주력 체외진단 키트는 물론 신규사업 진출에 추진력을 확보하고 경영권 안정화를 위해 향후 지분 추가 취득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티스트코스메틱은 지난 27일 휴마시스 차정학 대표이사의 보유 지분을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계약이 완료되면 휴마시스의 최대주주가 된다. (핀포인트뉴스 2023.02.01)
  • 차트

써니전자


SK증권

  • 상승률: 15.59% / 거래량 55,804,540
  • 관련 기사
    •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106340
      업비트-빗썸을 필두로 국내 주요 코인 거래소들의 모임인 디지털 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가 입장문을 내고 증권형 토큰(STO) 규제 논란과 관련, 진화에 나서 주목된다.  다만 DAXA의 이같은 해명에도 투자 시장에선 STO 규제 가이드라인 마련과 동시에 국내 코인시장의 대대적 옥석가리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국 증권위원회(SEC) 등에서 거론된 증권성 코인들 위주로 국내 퇴출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테크M, 23.02.01)
  • 차트

비스토스

  • 상승률: 18.98% / 거래량 33,948,603
  • 관련 기사
    •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3020165546
      종합병원에서 필수적으로 산부인과를 개설하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되자 비스토스는 생체신호를 활용한 태아 및 산모 관리용 의료기기 전문 기업으로 관련 법안으로 인한 수혜가 부각되며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김학용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달 30일 종합병원에 필수적으로 산부인과를 개설하도록 하는 내용의 의료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 종합병원이 산부인과를 필수 개설하도록 하고 정부가 산부인과를 개설하는 종합병원에 재정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내용이 담겼다. 현행법은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 종합병원은 내과·외과·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중 3개 진료과목, 영상의학과·마취통증의학과·진단검사의학과·병리과를 포함한 7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추고 진료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국경제, 23.02.01)
  • 차트

갤럭시아에스엠

  • 상승률: 3.87% / 거래량 30,425,244
  • 관련 기사
    • https://www.delighti.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498
      이는 금융당국이 증권형 토큰(STO)의 발행, 유통을 허용한 가운데 증권사들이 STO 플랫폼 출시를 위해 속도를 내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앞서 지난달 19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6차 금융규제혁신회의에서 '토큰 증권(증권형 토큰) 발행 및 유통 규율체계' 안건을 의결했다. STO 거래 플랫폼은 전통적인 증권 발행을 통한 자본 조달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갤럭시아에스엠은 전자결제 핀테크 기업 갤럭시아머니트리의 대주주로, 갤럭시아머니트리의 자회사 갤럭시아넥스트는 블록체인 기반의 STO 발행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딜라이트닷넷, 23.02.01)
  • 차트

코오롱모빌리티그룹

  • 상승률: 16.10% / 거래량 29,045,623
  • 관련 기사
    •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201_0002176699&cID=10403&pID=15000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은 지난해 7월 코오롱글로벌의 자동차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해 출범했고, 지난달 31일 분할 재상장했다. 앞서 전날에도 코오롱모빌리티와 우선주는 거래제한선까지 상승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은 기존 자동차사업부의 수입신차, 인증 중고차 판매, 자동차 정비와 함께 수입 오디오 등을 판매한다. BMW와 롤스로이스,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 뱅앤올룹슨과 보스 판매사업 등이다. 수입차 유통 판매 법인 코오롱아우토(아우디), 코오롱오토모티브(볼보), 코오롱제이모빌리티(지프)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출범 이후 첫 행보로 스웨덴 순수 전기 바이크 브랜드인 케이크(CAKE) 이륜차를 국내에 유통하기로 했다. 국내 단독 수입사로 마카플렉스, 외사플러스, 칼크앤 등 3개 모델 사전 예약을 12일부터 다음달 26일까지 받고 있다. 이 모델은 최대 시속 90㎞에 1회 충전시 주행거리가 111㎞에 이르는 케이크 대표 상품이다. 국내 출시 가격은 한 대당 1000만원 안팎일 것으로 예상된다. (뉴시스, 23.02.01)
  • 차트

다믈멀티미디어

  • 상승률: 20.28% / 거래량 28,592,671
  • 관련 기사
    •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201_0002177588&cID=10403&pID=15000
      최대주주 변경 소식을 알린 다믈멀티미디어가 이틀 연속 급등했다.
    •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다믈멀티미디어는 전 거래일 대비 1740원(20.28%) 오른 1만320원에 장을 마쳤다. 앞서 전날 다믈멀티미디어는 상한가를 기록한 바 있다. 이틀 연속 주가 급등은 최대주주 변경에 대한 기대감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30일 다믈멀티미디어는 장 마감 후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기존 최대주주인 베노홀딩스 외 1명은 보유 중인 300만주를 고스트로보틱스테크놀로지에 300억원에 매도하기로 했다. 1주당 가액은 1만원이며 변경 예정일은 오는 3월22일이다. 잔금 납입이 완료되면 고스트로보틱스테크놀로지는 지분 29.36%를 보유한 최대주주가 된다. 또 고스트로보틱스테크놀로지를 대상으로 하는 8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과 20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도 함께 진행된다. 최대주주 변경 외에도 약 1000억원 규모의 자금이 회사에 유입될 예정이다. (뉴시스, 23.02.01)
  • 차트

뉴지랩파마

  • 상승률: -11.11% / 거래량 25,631,256
  • 관련 기사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0113103575945
      바이오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낙점하고 체질변화에 나섰지만 녹록지 않은 업종 적응기를 겪는 중이다. 뉴지랩파마는 예기치 못한 변수에 주가가 급락한 경우다. 뉴지랩파마는 CCTV 카메라 제조업체인 뉴지랩이 2019년 미국법인 뉴지랩파마와 국내법인 뉴지랩파마코리아를 설립하며 바이오사업에 첫발을 내딛었다. 2021년에는 뉴지랩파마로 사명을 변경했다. 미국 안허트테라퓨틱스로부터 국내 독점 라이선스를 도입한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제 '탈레트렉티닙'과 고디스커버리로부터 들여온 기술을 활용한 4세대 대사항암제 'KAT'가 핵심 파이프라인이다. 특히 두 물질 모두 도입 이후 순차적으로 임상에 돌입하면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바이오 사업에 안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달에는 탈레트렉티닙의 임상 2상 유효성 중간평가에서 부분관해 확인과 한국·미국 임상 1/2a상을 진행 중인 KAT 국내 첫 환자 투약 소식 등을 알리며 파이프라인 성과 기대감을 키웠다. 지난달 16일에는 주가가 최근 3개월 고점인 1만2800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달 30일 주가가 갑작스러운 하한가를 기록한 뒤, 다음달 24.8% 추가 하락하며 급격한 변동을 보였다. 27일 종가 1만1620원에서 31일 6120원이라는 이례적 낙폭이다. 특별한 악재없는 급락에 온라인 홈페이지가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등 주주들과 회사의 혼란이 뒤따랐다. 뉴지랩파마는 31일 공지문을 통해 주가와 상관없이 자회사를 통해 개발 중인 두건의 항암제 임상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알리며 진화에 나섰지만, 주가는 좀 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는 상태다.
    • 업계는 뉴지랩파마의 주가 급락이 최근 주요 투자자 사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 중이다. 뉴지랩파마 주요 주주인 A씨는 지난달 27일 사망한 채 발견됐다. 경찰은 타살 혐의점이 없어,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대주주인 A씨가 뉴지랩파마 실소유주 또는 주요 경영진이라는 소식이 퍼지며 주가 급락을 이끌었다는 해석이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A씨가 회사 주주였던 것은 맞지만, 실소유주 또는 경영과는 무관하다고 일축했다. 뉴지랩파마 관계자는 "회사 내부나 사업적으로 큰 사고가 있지 않은 만큼, 갑작스러운 주가 하락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면서 "다만 A씨는 주주 가운데 한명일 뿐 회사 경영에 참여하거나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분은 아니다. 현재 순조롭게 진행 중인 파이프라인 연구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23.02.01)
  • 차트

하이딥

  • 상승률: 1.86% / 거래량 24,831,570
  • 관련 기사
    • 삼성전자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공급 부각 지속
  • 차트

옵티코어

  • 상승률: 7.63% / 거래량 21,667,097
  • 관련 기사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LKYAAAX0
      삼성전자가 235조원에 달하는 5G, 6G 네트워크 사업에 올인하고 있는 가운데 자사의 관련 기술이 부각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옵티코어는 세계최초 상용화에 성공한 5G 이동통신 및 미래 6G 이동통신에 핵심기술로 요구되고 있는 파장가변형 광트랜시버와 고속 및 장거리 전송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사업 전략에 맞춰서 개발 진행하고 있다. 특히 삼성의 네트워크 사업에 대한 강한 의지가 표출되고 있는 가운데 옵티코어는 자사가 가지고 있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을 주요 클라이언트로 확보하고 있다. 이날 한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5G(5세대)통신시장 확대와 6G통신 시대 도래 등에 따른 통신장비 시장의 본격 개화를 준비하며 네트워크 사업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삼성전자 통신장비 시장 공략이 더욱 유리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등에서 중국을 배제하는 기류가 깊어짐에 따라 삼성의 골든타임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경제, 23.02.01)
  • 차트

소니드

  • 상승률: 9.06% / 거래량 21,191,406
  • 관련 기사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0108482390544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소니드로보틱스는 고스트로보틱스테크놀로지(이하 고스트로보틱스테크)가 추진 중인 다믈멀티미디어 인수에 참여해 최대주주인 베노홀딩스의 특수관계자 라미쿠스의 보유지분을 인수할 예정이다. 다믈멀티미디어는 지난 1월 30일 최대주주인 베노홀딩스와 라미쿠스가 고스트로보틱스테크와 300억원 규모의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베노홀딩스와 라미쿠스가 보유한 468만4019주 가운데 300만주를 고스트로보틱스테크가 인수하고, 남은 168만4019주 가운데 일부를 소니드로보틱스가 인수하는 구조다. 고스트로보틱스테크는 미국 로봇 전문기업 고스트로보틱스와 사족보행 로봇 비전(Vision) 6.0 의 국내 독점 공급과 생산 및 공동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한 기업이다. 로봇 비전 6.0은 미국과 멕시코의 국경 지역을 순찰하는 로봇으로 알려져 있다. 고스트로보틱스테크는 다믈멀티미디어의 구주 인수 외에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목적의 200억원의 유상증자와 800억원의 전환사채(CB)도 투자할 예정이다. 유상증자 이후 보유 주식수는 706만5040주(29.36%)다. 소니드로보틱스는 지난 1월 고스트로보틱스테크와 사족보행 로봇 판매 및 다목적 상용화 로봇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면서 인연을 맺었다. 회사는 고스트로보틱스테크와의 로봇 사업 시너지를 위해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소니드로보틱스는 다믈멀티미디어 지분 인수를 통해 로봇 분야에 대한 역량을 추가 확보하고, 로봇 제조 및 연구개발 등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를 높일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23.02.01)
  • 차트

삼성중공업

  • 상승률: 1.38% / 거래량 16,577,365
  • 관련 기사
    • https://www.yna.co.kr/view/AKR20230201046200003?input=1195m
      성중공업[010140]은 오세아니아 지역 선사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 건조계약을 6천97억원(약 5억달러)에 체결했다고 1일 공시했다. 선박은 2027년 1월 중순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 이로써 삼성중공업은 올해 초 실적으로 집계된 15억달러 규모의 FLNG(부유식 LNG 생산설비) 1기를 포함해 한달 사이 20억달러의 수주 실적을 거뒀다. 이는 올해 수주 목표 95억달러의 21%에 해당한다. 삼성중공업은 2021년 122억달러, 지난해 94억달러어치를 수주해 모두 목표치를 초과했다. (연합뉴스, 23.02.01)
  • 차트


푸른기술

  • 상승률: 29.94% / 거래량 16,350,026
  • 관련 기사
    •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3020110013456714
      현대차가 환자용 웨어러블 로봇 '엑스블'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을 획득했다는 소식에 푸른기술의 주가가 강세다. 현대차는 앞서 엑스블 상표를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일본 등 주요 국가에 등록했다. 엑스블은 환자, 장애인의 하지 근육 재건, 관절 운동 회복 등 재활·훈련을 목적으로 환자가 착용하고 보행할 수 있는 전동 장치다. 현대차가 엑스블 상표 등록에 이어 이번에 식약처 인증으로 의료용 웨어러블 로봇의 상용화가 더욱 가까워진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푸른기술은 신규사업 분야로 협동로봇 및 의료로봇 개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난해 현대위아를 대상으로 협동로봇 '심포니 15'의 납품을 시작했다. 푸른기술은 심포니 15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군에 맞는 라인업 제품을 선보일 방침이다. 이번 현대차 식약처 인증 획득 소식에 수혜주로 부각되며 주가가 상승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머니S, 23.02.01)
  • 차트


한국테크놀로지

  • 상승률: -4.69% / 거래량 16,303,875
  • 관련 기사
    • 최대주주 증발 이슈 지속
  • 차트

아이윈

  • 상승률: 4.93% / 거래량 16,083,248
  • 관련 기사
    •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3013010330379321
      '챗GPT' 열풍으로 인공지능(AI)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아이원이 자회사의 공진 음성인식 AI 센서 기술 보유 소식에 주가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이원의 자회사 프로닉스는 AI센서 기술을 갖추고 있다. 프로닉스의 AI 센서는 세계 최초로 공진을 활용해 음성신호를 만들 수 있는 센서로 기존 마이크로폰과 비교해 최고 8배 먼 곳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최대 22배의 깨끗한 음성신호를 전달해 준다. 아이원은 지난해 빗썸 자회사인 비티씨인베스트먼트, IBK캐피탈 등 총 9개 기관 투자가로부터 170억원 규모의 자금을 확보하고 본격적인 신사업에 투자에 나섰다. (머니S, 23.01.30)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643286635483296&mediaCodeNo=257&OutLnkChk=Y
      아이윈(090150)의 자회사 아이윈플러스(123010)는 에이티솔루션 지분 인수를 완료했다고 31일 밝혔다. 아이윈플러스는 150억 규모의 에이티솔루션 지분 인수를 위해 지난 12월 30일 25억원의 계약금을 납입한 뒤, 125억 잔금을 치뤄 인수 절차를 마무리했다. 에이티솔루션은 카메라 모듈 특수코팅 전문기업이다. 지난 2021년 매출액 400억원, 영업이익 42억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에이티솔루션은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 A사에 제품의 공급하고 있다. 향후 정밀 카메라모듈의 수요가 크게 증가되는 자동차 산업을 비롯해 진입 시장을 확대를 검토 중이다. (이데일리, 23.01.31)
  • 차트

비플라이소프트

  • 상승률: 3.10% / 거래량 15,989,473
  • 관련 기사
    • https://www.delighti.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474
      정부 정책과 함께 AI 챗봇 ‘챗GPT’ 투자 계획이 발표되면서 수혜를 입고 있다. 지난달 23일 (현지시각)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경영자(CEO)는 오픈 AI와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혔다. MS의 투자 규모는 총 100억 달러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플라이소프트는 사람의 언어를 가장 잘 이해하는 인공지능 위고 기술과 합법적 저작권이 확보된 국내 최대 미디어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BDaaS) 전문기업 (딜라이트, 23.02.01)
  • 차트

한화투자증권

  • 상승률: 10.46% / 거래량 15,763,737
  • 관련 기사
    •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106340
      업비트-빗썸을 필두로 국내 주요 코인 거래소들의 모임인 디지털 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가 입장문을 내고 증권형 토큰(STO) 규제 논란과 관련, 진화에 나서 주목된다.  다만 DAXA의 이같은 해명에도 투자 시장에선 STO 규제 가이드라인 마련과 동시에 국내 코인시장의 대대적 옥석가리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국 증권위원회(SEC) 등에서 거론된 증권성 코인들 위주로 국내 퇴출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테크M, 23.02.01)
  • 차트

갤럭시아머니트리

  • 상승률: -13.44% / 거래량 15,255,676
  • 관련 기사
    •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2552
      주가는 장기 바닥에서 벗어나 18거래일 연속 상승하고 있다. 외국인은 8거래일 연속 매물을 쏟아내고 있다. 전자결제사업 등수주확대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 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갤럭시아머니트리는 지난달 30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기업설명회를 진행했다. 갤럭시아머니트리는 전자지급결제를 위한 전문 결제대행사로, '전자결제사업', 'O2O사업', '기타사업'을 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휴대폰 소액결제 서비스를 개발하였으며, 통합 전자결제 시스템 서비스로 휴대폰 소액결제, 신용카드 결제, 계좌이체 등 가맹점이 필요로 하는 모든 결제 수단의 모듈을 맞춤형으로 편리하게 제공하고 있다. (핀포인트뉴스, 23.02.01)
  • 차트

골든센츄리

  • 상승률: 8.74% / 거래량 14,138,619
  • 관련 기사
    • 뉴스 없음
  • 차트

애니플러스

  • 상승률: 10.99% / 거래량 13,625,350
  • 관련 기사
    • 뉴스 없음
    • 추측: 25일 전환사채?
  • 차트

미스터블루

  • 상승률: 4.07% / 거래량 13,490,261
  • 관련 기사
    •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20110523682758
      이버웹툰이 불법 웹툰 유통을 인공지능(AI)으로 차단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는 소식에 네이버웹툰 무협 점유율이 높은 미스터블루가 부각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웹툰은 인공지능(AI) 기반 사전 차단 시스템 ‘툰레이더’를 운영 중이다. 이 시스템을 바탕으로 불법 유통 사이트를 실시간 자동 모니터링하고 불법 복제 웹툰을 발견할 경우 그 이미지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추출해 최초 유출자의 계정을 차단한다. 이 사용자 식별 정보는 웹툰 이미지에 삽입돼 있지만 육안으로는 인식할 수 없으며 생성·삽입 방법도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특징이다. 2019년부터는 그간 파악한 웹툰 불법 유통 패턴을 머신러닝 방식으로 분석하고 불법 복제 행위가 의심되는 이용자를 찾아내고 있다. 의심 계정 이용자는 유료 미리보기를 구매하지 못하도록 사전 차단해 불법 유통에 사용할 웹툰 콘텐츠를 확보하기 어렵게 한다. 미스터블루는 국내 최다 만화 저작권 보유 업체로 1902개의 타이틀, 5만7275권의 지식재산권(IP)을 갖고 있다. 특히 무협 4대 천왕으로 불리는 ‘황성, 야설록, 사마달, 하승남’의 포괄적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아시아경제, 23.02.01)
  • 차트

웨이버스

  • 상승률: 12.72% / 거래량 12,761,202
  • 관련 기사
    •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3020167016
      국토교통부의 국가공간정보 플랫폼(이하 K-Geo 플랫폼) 구축이 완료됨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민간기업 대상 공간정보 사업을 확대한다고 1일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달 30일 국가공간정보의 통합·활용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K-Geo 플랫폼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웨이버스가 2020년부터 3년간 주관사업자로 구축에 참여한 K-Geo 플랫폼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국가와 공공기관에서 생산한 공간정보 데이터를 통합하고 이를 융·복합해 △시계열 데이터 구축 △생애주기 관리 △3차원 공간정보 개발 플랫폼 제공을 할 수 있도록 한 체계다. 플랫폼 이용자들은 K-Geo 플랫폼을 통해 나만의 지도를 만들어 경관 및 사각지대 분석과 드론 비행 시뮬레이션 등을 할 수 있고 특정 시점의 토지·지적·부동산 통계 등 가격·소유자 관련 공간정보 데이터와 융합해 의사 결정에 이용할 수 있다. 국토부는 향후 공간정보가 필요한 타 중앙부처에도 해당 플랫폼을 개방해 활용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4차 산업혁명의 기초인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민간 수요도 늘어나고 있는데 따라 웨이버스는 K-Geo 플랫폼을 기반으로 민간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공간정보 유통 플랫폼인 ‘더 맵 파스(The Map-PaaS, 가칭)’와 공간정보 구독 서비스인 ‘더 맵 고산자(The Map-Gosanja, 가칭)가 그것이다. 회사는 올해 상반기 인프라 구축을 끝내고 하반기 경 민간 시장에 공개해 협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공간정보가 필요한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증강현실(AR) 등 산업군이 그 대상이다. (한국경제, 23.02.01)
  • 차트

휴림로봇

  • 상승률: -2.09% / 거래량 12,021,298
  • 관련 기사
    • AI관련주 지속
  • 차트

골드퍼시픽

  • 상승률: 9.85% / 거래량 11,567,879
  • 관련 기사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KOTW8EAU
      휴마시스의 경영권이 남궁견 미래아이앤지(007120) 회장에게 넘어간 가운데 일부 주주가 매각 계약에 반대하며 법적 대응에 나섰다. 이번 계약에서 아티스트코스메틱은 범미래아이앤지 계열사에서 자금을 조달했다. 미래아이앤지(120억 원)와 인콘(083640)(300억 원), 골드퍼시픽(230억 원)이 아티스트코스메틱이 발행한 전환사채(CB)를 취득하며 자금을 조달했다. 미래아이앤지는 골드퍼시픽의 대주주이며 인콘의 특수관계자다. (서울경제, 23.01.31)
  • 차트

러셀

  • 상승률: 7.74% / 거래량 11,518,772
  • 관련 기사
    • 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2679
      반도체 경기 회복시 실적개선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 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러셀은 반도체 장비 제조 및 판매와 생산 자동화 장비 제조 및 판매 등을 하고 있다. 반도체에 박막을 부착하는 증착 장비에 특화된 반도체 중고 장비 업체로 업체 인지도 및 기술력, 가격 경쟁력 등에서 주목 받고 있다. 반도체와 반도체 장비 관련주인 다믈멀티미디어 피에스엠씨 동진쎄미켐 싸이맥스 가온칩스 제주반도체 SK하이닉스 제우스 등도 동반상승 하고 있다. (핀포인트뉴스, 23.02.01)
  • 차트

포스코엠텍

  • 상승률: 1.16% / 거래량 11,203,500
  • 관련 기사
    •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3013109094497306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탄산리튬 가격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며 리튬 채굴업체들도 덩달아 역대 최대실적을 달성한 가운데 포스코엠텍의 주가가 강세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최대 리튬 채굴기업인 톈치(天齊)리튬은 지난해 순이익 잠정치가 전년보다 1011∼1132% 치솟은 231억∼256억위안(약 4조7000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간펑리튬도 작년 순이익이 244∼321% 늘어난 180억∼220억위안(약 4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들 기업의 순이익이 치솟은 것은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탄산리튬의 중국 내 가격이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2020년 당시 저점의 15배에 이를 정도로 뛰어오른 덕분이다. 최근 전 세계적인 전기차 수요 급증에 비해 공급이 뒤따라가지 못하면서 탄산리튬 가격이 급등세를 보였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포스코엠텍은 철강포장 및 철강부원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포스코 페로망간공장, 동판재공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 가운데 포스코가 과거 매입한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Hombre Muerto)' 리튬염호의 가치를 지난해 12월 예상 매장량 1350만t에 2021년 11월 기준 리튬 평균 가격 1t당 3만709달러(약 3600만원)와 정제 추출비율을 곱해 산출한 가격으로 100조원의 매출 추정치를 낸 바 있다. (머니S, 23.01.31)
  • 차트


미래나노텍

  • 상승률: 7.72% / 거래량 10,836,521
  • 관련 기사
    • 포스코케미칼이 삼성SDI와 전기차용 하이니켈계 NCA 양극소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 때문으로 보인다.  전날 포스코케미칼은 40조원 규모의 삼성SDI(006400)향 전기차용 하이니켈계 NCA 양극재 중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공시 내용 상 계약금액은 40조원이며 계약기간은 2023년 1월~2032년 12월 동안으로 전체 10년간 공급이다. 한편 미래나노텍은 양극재 첨가제와 수산화리튬 분말 가공 등을 포스코홀딩스의 주요 계열사인 포스코케미칼 등에 납품하고 있다. (국제뉴스, 23.02.01)
  • 차트

모아데이타

  • 상승률: -1.29% / 거래량 10,118,537
  • 관련 기사
    • https://www.fnnews.com/news/202302011046513602
      국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산업의 육성을 위해 정부가 보유한 데이터의 전면 개방이 추진되면서 모아데이타의 사업 내용이 부각되고 있다. 이미 수익화에 나선 '페타온 포캐스터(PETAON Forecaster)'의 오류를 줄이고 있어 재무 개선이 기대된다. 국내 AI, 클라우드 등 유관 산업의 육성을 위해 정부가 보유한 데이터를 전면 개방하고, 정부 서비스도 개방해 민간 서비스와 융합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헌다는 계획이다. 모아데이타는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활용해 정보기술통신(ICT) 분야에 진출했다. AI 기반 ICT 시스템 관리인 ‘AIOps' 솔루션 제품 페타온 포캐스터를 출시, 빠르게 수익화에 나섰다. 페타온 포캐스터는 ICT 운영 시스템에 딥러닝 기술을 접목해 시스템의 이상을 탐지, 예측하고 이상 행위의 원인을 분석해 시스템 장애를 예방한다. 이 기술은 지난 2017년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주택도시보증공사 등 공공기관에서 솔루션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2018년에는 SK 전 그룹사의 ICT시스템을 관리하는 전략적 제휴도 체결했다. 2019년에는 포스코와 롯데, 국립중앙도서관 등을 신규 고객으로 확보했다. (파이낸셜뉴스, 23.02.01)
  • 차트

'거래량 천만 이상 종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2.03 (금)  (0) 2023.02.15
2023.02.02 (목)  (0) 2023.02.14
2023.01.31 (화)  (0) 2023.02.09
2023.01.30 (월)  (0) 2023.02.07
2023.01.27 (금)  (0) 2023.02.06

댓글